Kopub 명조체 - Kopub myeongjoche

KOPUB바탕체 알아봅시다.

안녕하세요~ 언제나 열심인 도로시에요~
오늘은 여러 글꼴중
KOPUB바탕체에 대해 알아볼께요~

Kopub 명조체 - Kopub myeongjoche

먼저 KOPUB 서체는
돋움체와 바탕체가 있는데요~
Kopub돋움체는 고딕체의 글꼴이고
굵기에 따라 Light, Medium, Bold
3가지로 구분됩니다.
Kopub바탕체는 명조체의 글꼴이고
굵기에 따라 Light, Medium, Bold
3가지로 구분됩니다.

Kopub 명조체 - Kopub myeongjoche

그럼 고딕체은 어떤 서체일까요?
고딕체는 묵직하면서 굽은 곳이 없고
꾸밈이 거의 없는 획의 글꼴입니다.
서양의 타이포그래피의
산세리프체와 비슷하구요~
고딕은 유럽에서는 블랙 레터와 같은
장식적인 필기 서체를 가르키는 반면
한자 문화권에 있는 국가에서는
처음 가로와 세로 굵기가 획이 일정하고
마지막 획에 꾸밈이 없습니다.
종횡의 굵기가 일정한 것이 고딕체의
특징이지만 전통적인 고딕체에서는
처음부터 마지막까지의 선의 굵기에는
변화가 있는데 중앙이 약간 가늡니다.

Kopub 명조체 - Kopub myeongjoche


그럼 돋음체를 알아볼까요?
원래 독일의 글자체로서 구텐베르크의
활판 인쇄술 발명 이후 오늘날까지
사용되고 있습니다.
 한글 활자체 가운데 하나.
돋보임의 효과가 큰 성격을 지녔고
처음에 등장하기 시작한 것은
1920년대 초입니다.
광고 제목, 책 표제, 본문 제목 등의
용도로 사용하였으며
1930년대에 이르러 광범위하게
사용되기 시작하였고
1991년 문화체육부에서는 한글 고딕체를
우리말로 표현한 돋움체로 지정하였답니다.
1960년대 시진 식자 판짜기 네모틀에
맞춰 만들어진 활자 꼴로 줄기의 부리가
미세하게 있으나 대개 가로줄기와
세로줄기의 굵기가 거의 같으면
수직, 수평으로 이루어집니다.
각종표지판, 신문, 서적 등의 돋보임용으로
가장 많이 쓰이고 있답니다.

Kopub 명조체 - Kopub myeongjoche


그럼 Kopub는 한국출판인회의(KOPUS)에서
배포하는 전자책용 서체로
전자책 제작 및 전자출판 유통시장
활성화를 지원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서체의 지적재산권은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출판인회의가 소유하고 있으며
사용을 허락받은 출판사, 전자출판 기업 및
단체 또는 개인을 포함한 모든 사용자에게
약관에 따라 무료로 제공되고 있습니다.

Kopub 명조체 - Kopub myeongjoche


2011년 12월 26일부터 배포가
시작되었다고 하는데요~
문화체육관광부에서 2억원을 지원하여
서체 전문회사 릭스코가 10개월간
작업해서 만들어졌으며
한국의 출판 서체(korean publishing)라는
뜻에서 Kopub서체라고 지었답니다.
Kopub서체는 유니코드 기반으로
1만1172를 지원합니다.
영문 94자 KS한자 4,888자로
구성되었으며 조합형 글꼴까지
모두 지원합니다.
출판인회의는 지금까지 전자책에
사용된 한글 서체는 2350자 수준으로
한글로 구현 가능한 모든 글자를
표현할 수 있도록 유니코드에 할당된
총 1만 1172자에 못 미치는 상황이었다며
이로인해 출판사들이 서체 개발로 인해
서체업체들과의 저작권 사용료 분쟁도
다소 풀릴 것이라는 전망이
출판업게에서 나왓습니다.
2018년 7월 22일 기준 최근 3년간
다운로드 횟수는 약 50만회입니다.

Kopub 명조체 - Kopub myeongjoche


이폰트의 특징은
비례와 균형의 완성도가 높다는것~
고딕의 미세한 곡선 처리와
명조의 완성도 높은 획 처리가
가독성을 높여주는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답니다.

Kopub 명조체 - Kopub myeongjoche


글자의 화면표현은
ebook과 스마트기기의 디스플레이
특성을 고려하여 가독성 테스트를
통해 제작되었습니다.
글자의 장평과 자간은
편집자의 의견과 테스트를 통한 검증으로
최적의 장평과 자간으로 제작되었습니다.
글자의 두께는
두께를 세분화하여 화면과 인쇄상에서
테스트하였으며 테스트 결과를 통해
최적의 두께로 제작하였다고 합니다.

Kopub 명조체 - Kopub myeongjoche

Kopub 명조체 - Kopub myeongjoch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