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률밀도함수 확률구하기 - hwaglyulmildohamsu hwaglyulguhagi

1st ed.

[확률과 통계] 18. 확률밀도함수,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of Continuous Random Variable

앞서 확률질량함수를 알아봤는데, 확률질량함수가 이산확률변수에 관한 것이라면, 이번에 알아 볼 확률밀도함수는 '연속확률변수'에 관한 확률함수 입니다.

다시 한 번 복습하자면, 확률이 흩어져 퍼져 있는 것을 '확률분포'라고 하는데, 이 흩어져 있는 것을 '함수'를 이용해 표현한다고 했습니다. 따라서 확률분포는 함수입니다. 이산확률변수는 "확률변수 X=1일 때 확률은?" 처럼 딱 떨어지는 확률변수에서 확률을 구할 수 있지만, 연속확률변수는 그렇지 않습니다. 확률과 통계 15번 포스팅에서 설명했듯이 물을 정확히 100.00 ml 따를 수 있는 확률은 현실적으로 0에 가깝습니다. 하지만 이것을 "물을 99ml ~ 101ml 따를 수 있는 확률은?" 과 같이 묻는다면 이 확률은 0이 아니겠죠. 따라서 연속확률변수의 분포를 나타내는 '연속확률분포'에서 확률을 구할 때는 항상 범위로 표현합니다! 이 점을 꼭 숙지해 두시고, '확률밀도함수'에 대해 알아봅시다.

확률밀도함수 확률구하기 - hwaglyulmildohamsu hwaglyulguhagi
 

연속확률변수에서 부등호에 붙은 등호는 의미가 없습니다. 왜냐하면 말 그대로 '연속'이기 때문이죠. 만약 연속확률변수 X의 P(3<X<5)의 확률을 구하라고 할 때, 3과 5는 포함되지 않는데 3.000000000000000000001 ~ 4.999999999999999999999 는 분명 3과 5 사이에 포함되죠. 하지만 이것은 극한을 취하면 결국 3과 5가 됩니다. 따라서 연속확률변수에서는 등호는 아무 의미가 없습니다.

확률밀도함수 확률구하기 - hwaglyulmildohamsu hwaglyulguhagi

확률밀도함수 f(x)는 결국 어떤 확률변수의 크기를 나타내는 값이죠(확률질량함수도 마찬가지 입니다. 단지 확률변수가 이산인지 연속이지만 다를 뿐이죠). 따라서 a와 b 사이의 확률을 구하는 것은 확률밀도함수 그래프의 넓이를 구하는 것입니다. 그래프의 넓이를 구하기 때문에 적분을 이용합니다.

문제 하나 풀어봅시다.

확률밀도함수 확률구하기 - hwaglyulmildohamsu hwaglyulguhagi
 

우선 위에서 알아본 확률밀도함수의 정의를 이용합니다.

확률밀도함수 확률구하기 - hwaglyulmildohamsu hwaglyulguhag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