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의 이해 pdf - midieoui ihae pdf

디지털 시대 정보 혁명의 예언자 마셜 맥루언의 대표작

1981년 ≪저널 오브 커뮤니케이션Journal of Communication≫은 <맥루언 특집>을 마련한다. 그리고 이후 이를 필두로 하여,『맥루언 서신Letters of Marshall McLuhan』(1987),『미디어의 법칙: 신과학Laws of Media : The New Science』(1988),『지구촌The Global Village』(1989),『맥루한 요론Essential McLuhan』(1995)이 속속 출간되며, 1996년에는 전자 잡지 ≪와이어드Wired≫가 맥루언 관련 특집 기사를 싣는다. 그리고 맥루언의 사상은 정보 기술 혁명 시대를 예견한 선구적 담론으로 재평가되며(폴 레빈슨Paul Levinson의『디지털 맥루언Digital McLuhan: A Guide to the Information Millennium』이 그 대표적인 사례이다), 오늘날의 멀티미디어에 대한 이론적 근거는 예외 없이 맥루언의 주장으로부터 시작하고 있다.

이처럼 맥루언은 이 책이 미국에서 처음 발간된 1964년 당시보다는 오늘날 훨씬 큰 설득력을 점차 얻어가고 있는데, 특히 이러한 1990년대의 흐름을 두고 <맥루언 르네상스>라는 말까지 나타나게 되었다. 이 책 역시 발간 당시부터 저자의 번뜩이는 발상들 때문에 미국의 대학생들이 성경 다음으로 많이 지니고 있었다는 풍문이 돌 정도로 많은 화제를 불러일으키긴 했지만, 예언서가 흔히 가지는 다소 비학문적인 성격 때문에, 또 다른 한편으로는 미래에 대한 지나친 낙관 때문에 학계로부터 줄곧 배척받아 왔다. 하지만 오늘날 그 예언들은 디지털 시대를 해명하고 앞날을 엿볼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해 주고 있다.

예를 들면, <책이 활판 인쇄술 이전으로 돌아가 제작자가 소비자를 겸한 시대로 복귀할 것이며, 일정한 주제를 따라 순서에 맞게 구성되는 선형적인 책은 차츰 사라질 것>이라는 예언은 개인 주문 제작 형태의 책과 하이퍼텍스트라는 현실로 나타났고, <공간 소멸>과 <지구촌>에 대한 그의 예언은 인터넷을 통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특히,

21세기에 맥루언을 다시 읽는 까닭은 무엇인가. 맥루언 르네상스라는 표현은 <미디어 시대>를 배경으로 하는데, 오늘날 미디어는 일종의 무한 권력이다. 미디어가 삶의 모든 영역을 조정하고 주조하고 재편하는, 문명사의 낯선 국면 속에서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물음은 <왜 어떻게 미디어인가>라는 물음으로 구체화될 수밖에 없으리라. 이 책은 바로 그 같은 과제 앞에서 일종의 백미러 구실을 한다. 저 앞으로 달음질 치는 미디어 시대의 문화 변동, 그 속도와 방향을 가늠하고자 하는 우리에게 이 책은 이렇게 말하는 듯싶다. 잠시 멈춰『미디어의 이해』라는 백미러를 보라, 거기에 앞으로 나아갈 길이 새겨져 있다고 말이다.

라는 옮긴이의 말에서 알 수 있듯이, 맥루언의 미디어 사상을 집약해 놓은 이 책을 통해 우리는 무한 권력으로 자리하면서 무한 변동을 창출하는 미디어의 시대를 재는 가늠자를 마련해 볼 수 있다.

새로운 번역과 깊이 있는 이해를 위한 서문

1977년에 국내에서는 삼성출판사가 처음으로 완역한 뒤부터, 이 책은 큰 수정 없이 출판사만 바꾸어가며 계속 출판되어 왔다. 결국 한국의 독자들은 지금까지도 25년 전의 낡은 번역을 통해 맥루언의 사상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이에 민음사는 원저작권자와 정식 계약을 체결하여 새로운 번역으로 이 책을 내어놓게 되었다.

곳곳에 있는 기존의 오역들 역시 수정하였지만, 크게 수정된 것만 들자면 맥루언 특유의 용어들이 있다. 기존의 역서에서 각각 <외부폭발>, <내부폭발>로 옮긴 , 은 그간의 학계의 견해를 반영하여 각각 <외파>, <내파>로 바꾸어 옮겼다. 한편, , 는 그 동안 각각 <구어>, <문어>로만 해석되어 왔는데, 이 책에서는 맥루언의 미디어 개념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중심적인 범주 중 하나인 감각 기관의 차이를 더욱 두드러지게 하기 위해 각각 <음성 언어>, <문자 언어>로 옮겼다. 게다가 그렇게 옮김으로써, 와 의 의미가 <말로만 쓰이고 문장으로는 쓰이지 않는 말>(구어), <문장에만 쓰이고 말로는 쓰이지 않는 말>(문어)로 협소해지는 것을 피할 수 있었다.

한편 이 책에서는 1994년 MIT판에 실린 루이스 래펌Lewis H. Lapham의 서문을 옮겨 실었다. 래펌은 1975년부터 지금까지 월간 ≪하퍼스Harper’s≫의 편집장을 맡고 있는데, 주로 미국 사회와 정치의 이면을 예리하게 파헤치는 에세이들을 통해 미국 내의 비판적 지식 사회에서 큰 반향을 얻고 있다. 래펌의 글은 오늘날 맥루언의 미디어 이론이 갖는 문화적 의미망을 이 책을 중심으로 삼아 조목조목 정리해 보여줌으로써, 맥루언이 그려보이는 현대인의 초상, 즉 <영원한 현재의 황홀경 속에 살고 있는 그래픽적 인간>이란 과연 어떤 존재인가를 독자 스스로 되묻게 하고, 포스트모던적 흐름과 맥루언 사상의 연관성을 보여주고 있다.